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사람성격
- 인생정리
- 부끄러운일
- 야간사격
- 상식과정의
- 복수의허무함
- 부산여자하쿠짱
- 라면과계란
- 계란과 사이다
- 시골 계란찜
- 한식푸우
- 삼사식육식당
- 사람습관
- 부산맛집
- 회사 스트레스
- 광재언니
- 대빵TV
- 단기사병
- 합천소고기
- 맛만볼까
- 누워커는 콩나물
- 투수놀움
- 고쳐쓸수 없는 사람
- 멍부
- 4월은잔인한달
- 짜돌짬뽕
- 사적복수
- 비싼아파트
- 윤정수코치
- 국수의역사
- Today
- Total
높이 날아라 나는 내려간다....
선택 본문
우리가 일생을 살아가면서 만나게되는 사람은 대략 얼마나될까....
좀 더 정확히... 가족을 포함해 친분관계를 유지하며 죽을때까지
그 관계를 지속시키는 사람 말이다.
한 국가단위나 글로벌 세계 범주안에 권력의 크기나
지위고하, 경제력에 따라 친소관계의 범위는 천차만별 이겠지만
통상적으로 우리가 가늠할 수 있는 그 숫자는 휴대폰에 저장된
사람의 수로 어림짐작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.
내가 아는 한, 3천명 이상을 저장하고 있다는 특수한 사람도 몇 들었고
일반적으로 많다고 하는 사람들이 1천명 정도라니
5백명 정도가 저장돼 있고 그중에 1/3이상이 정리가 안되는
모르는 사람을 저장하고 있는 나는 일반적으로 많다는
기준에서 한참 떨어지는 수준의 인적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보인다.
그 안에 또 직계가족과 일가친척, 그나마 친소관계가 두텁다고
생각되는(순전히 나혼자 생각)사람들과 어쩔수 없이 잘지내야되는
같은 사무실 선후배를 추려내면 끽해야 50명을 넘을까....
경험치를 통해 축적된 데이터를 가동해 이 정도 사람이면
더불어 술잔을 기울이고 고통과 기쁨을 함께 할 수 있을거라 생각했던
많은 사람들을 떠나보낸 터이고 보니
내가 가진 데이터는 처음부터 올바른 작동기능을 가지지 못한채
운용해 왔던게 틀림없어 보인다.
수많은 에너지와 경제적 손실을 감수하며
나 자신이 여전히 가치 있다는 것을 끊임없이 증명하며
광범위한 인맥을 관리하며 사는게 옳은건지
자신의 이성과 감정 그에 따른 결정을 쫒으며
힘겹지만 외로움을 감수하며 살아가는게 옿은건지에 대한
내 판단은 오래전에 끝냈다.
먼 옛날 끊임없는 유랑의 삶으로 점철된 가운데도
끈끈한 결속력과 엄격한 지휘계통을 가졌을법한
가족단위나 씨족단위의 관계가 인간이 가질수 있는
최대한의 통제가능한 관계가 아닐까 싶다.
엉터리 데이터와 고장난 시스템인줄 알면서도
그 데이터와 시스템을 작동시켜 나는 오늘도 사람을 만나고
정을 주고 또 뒤통수를 맞고 산다.
내가 죽을때 즈음 내가 정의한 인간다운 인간은 과연 몇명이나
내곁에 남을까......